자영업자의 가족경영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경영악화로 대부분 자영업자가 직원 수를 줄이면서 돈을 받지 않고 일하는 가족·친척의 무급가족종사자마저 취업시장에 나섰기 때문이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월 무급가족종사자 수는 86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만4000명 줄었다. 이로써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4월부터 36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연간 기준으로 무급가족종사자는 지난해 95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5만2000명 줄었다. 이는 2001년부터 22년 연속 감소한 것이다.
무급가족종사자는 1976년 301만5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1991년 197만4000명을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200만명 선이 깨졌다. 이어 지난해 100만명 선마저 무너졌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가운데 무급가족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3.4%에 그쳤다. 이는 역대 최저기록이다. 이 비중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지난 1963년 31.2%였고, 1964년에 32.3%로 역대 최고로 올랐다가 이후 줄곧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1960년대 초반만 해도 전체 취업자 3명 중 1명 정도가 무급가족종사자일 정도로 자영업자의 가족경영이 활발했다. 지금은 취업자 100명 가운데 3명 수준이다.
이는 자영업자가 경영악화를 겪으면서 영세해진 것이 무급가족종사자가 줄어든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자영업자는 지난 2002년 621만2000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자영업자는 563만2000명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진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전년보다 11만9000명 증가했지만 2018년부터 2021년까지는 4년 연속 감소했다.
출처 : 자유일보(https://www.jayupress.com)